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양근대의 종교 개혁

by 알라딘 2021. 10. 3.

1. 알프스 이북의 르네상스

AD 16세기 알프스 이북(북유럽) 지역에서는 인문주의자들을 중심으로 교회의 부패(세속화)와 성직자의 타락을 비판하며 종교 개혁(교회 개혁)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또한 그들은 성서 연구를 바탕으로 초기 크리스트교로의 회귀를 주장하고 있었습니다. ​

 

알프스 이북의 르네상스는 사회 개혁적(비판적)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알프스 이북의 인문주의자들은 현실 사회와 교회를 비판하였습니다. 당시 알프스 이북 지역은 이탈리아에 비하여 로마 가톨릭 교회의 영향력과 봉건 사회의 관습이 강하게 남아 있었습니다. 네덜란드의 에라스뮈스는 <우신예찬>에서 교회의 형식화와 성직자의 타락을 비판하였습니다.

 

영국의 토머스 모어는 <유토피아>에서 영국의 부조리한 현실 사회를 비판하였습니다. 우신은 어리석음의 여신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유토피아(Utopia)는 존재하지 않는 장소라는 의미입니다. U=No, Topia=Place입니다. ​ 알프스 이북의 르네상스는 크리스트교적 인문주의라는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알프스 이북의 인문주의자들은 성서를 연구하고 초기 크리스트교로의 회귀를 주장하였습니다. 이는 종교 개혁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 ​

 

2. 성서 지상주의

영국의 위클리프와 보헤미아의 후스 등은 교회의 부패(세속화)와 성직자의 타락을 비판하며 성서(성경) 지상주의를 주장하였습니다. 그들은 성서(성경)에 기반한 신앙을 강조하였습니다. 영국의 위클리프는 보헤미아의 후스에게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들은 종교 개혁의 선구자들이 되었습니다. ​ AD 1414년 로마 가톨릭 교회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해결)하기 위해 콘스탄츠 공의회-종교 회의-(Council of Konstanz, AD 1414년 ~ AD 1418년)를 개최하였습니다. 로마 카톨릭 교회는 콘스탄츠 공의회를 통해 다음과 같이 교회의 대분열 시대 혼란을 수습하고자 하였습니다. 첫째, 위클리프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후스를 화형에 처하였습니다. 둘째, 교회의 대분열 종식하기 위해 로마 교황과 아비뇽 교황을 폐위시키고 새로운 교황으로 '마르티누스 5세'를 선출하였습니다. ​

 

콘스탄츠 공의회 이후에도 교회 개혁에 대한 목소리는 계속되었습니다. 영국의 오컴은 신앙과 이성의 분리(구분)를 추구하였습니다. 또한 초대 교회의 순수한 신앙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는 이들이 등장하였습니다. 이는 AD 16세기 종교 개혁으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 ​

 

3. 교황권의 쇠퇴 + 교회의 부패(세속화)▪성직자의 타락

십자군 전쟁(Crusades, AD 1096년 ~ AD 1270년)은 중세 유럽 사회(봉건 사회)의 붕괴를 촉진시켰습니다. 십자군 전쟁은 교황 우르바누스 2세의 호소에 의해 예루살렘 성지 회복을 목표로 하는 종교적 열정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점차 세속적인 목적으로 변질되면서 실패로 끝났습니다. 이로 인하여 십자군 전쟁을 주도하였던 교황(교회)의 권위는 크게 실추되었습니다. ​

 

십자군 전쟁은 국왕(왕)의 권한 강화 및 중앙 집권화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교황(교회)의 권위 실추와 동시에 장기간의 전쟁 과정에서 제후(기사) 세력이 몰락하였기 때문입니다. 제후와 기사는 전쟁 과정에서 상당수가 사망하였으며 전쟁의 실패로 부채에 시달리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국왕과 제후들은 교회가 소유한 재산에 대한 소유 욕구가 증가하고 있었습니다. ​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독일은 300여 개의 영방 국가(領邦國家)로 분열되어 교황청의 착취가 매우 심한 지역이었습니다. 이는 독일에서 종교 개혁이 시작되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댓글